전체 134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6 : 三十三.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 1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105 38 0 0 2024-07-19
三十三.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 1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은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을 드러내어 밝히는 품이다. 그러나 사실에 있어서는 사람 사람의 진여자성 안에 본래로 갖추고 있는 무한하며 온갖 미묘한 공덕을 밖으로 드러냈을 때 그것을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이라 한다. 부처님의 차별한 원인[佛因]과 차별한 불과(佛果)를 밝히면서 부처님의 미묘한 깨달음의 경지[妙覺]를 그대로 드러내 보이는 내용이다. 그 내용을 먼저 보살들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던 것을 하나하나 질문하는 형식을 빌려 밝히고 청련화장(靑蓮華藏)보살이 그 질문에 대하여 자세히 설법한다.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5 : 아승지품. 여래수량품.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88 40 0 0 2024-07-19
三十. 아승지품阿僧祇品 三十一.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三十二.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 제30 아승지품, 제31 여래수량품, 제32 보살주처품은 등각의 깊고 깊은 경지를 밝힌 내용이다. 아승지품에서는 한량없는 숫자를 다 열거하는데 십만에 해당하는 낙차에서 시작하여 구지, 아유다, 나유타, 그리고 마지막 숫자인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음 제곱’에까지 이르렀다. 모두 부처님의 수승한 덕의 한량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래수량품에서는 여래의 목숨이 얼마나 긴가를 설하였다. 여기서 여래란 진리로서의 부처님이신 법신 여래이며 사람 사람이 모두 갖추고 있는 진여불성 여래다. 곧 아승지품에서는 참사람 부처님, 참마음 부처님이 본래로 갖춘 공덕이 무량무변하다는 사실을 밝혔고 여래수..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4 : 二十八. 십통품十通品 二十九. 십인품十忍品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88 81 0 0 2024-07-19
二十八. 십통품十通品 일반불교에서는 그냥 선정이니 삼매니 또는 정혜, 지관이라고 하지만 화엄경에서는 삼매를 열 가지 큰 삼매라고 하여 여래의 정각과 일체 지혜와 큰 자비와 큰 신통이 모두 삼매로부터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열 가지 큰 삼매를 설하고 나서 삼매로부터 다시 열 가지 신통을 일으키는 십통품(十通品)을 설하게 된 것이다. 다른 이의 마음을 잘 아는 선지타심지신통(善知他心智神通), 모든 것을 다 보는 무애천안지신통(無天眼智神通), 과거의 일을 다 아는 지과거제겁숙주지신통(知過去際劫宿住智神通), 미래의 일을 다 아는 지진미래제겁지신통(知盡未來際劫智神通), 모든 소리를 다 들어서 아는 무애청정천이지신통(無淸淨天耳智神通), 일체 세계에 마음대로 가는 주무체성..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3 : 십정품 4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114 49 0 0 2024-07-19
二十七. 십정품十定品 4 7처 9회 39품 중에서 제7회의 설법이 시작되었다. 제7회 법문은 두 번째 보광명전에서 11개의 품을 설하는데, 그 내용은 등각(等覺) 법문이 6품이고, 묘각(妙覺) 법문이 3품이고, 평등한 인(因)의 법문 1품과 평등한 과(果)의 법문 1품이다. 십정품(十定品)은 7회 11품 중에 첫째 품으로서 열 가지 선정[三昧]에 대한 설법으로, 열 가지 큰 삼매는 보광명대삼매(普光明大三昧), 묘광명대삼매(妙光明大三昧), 차제변왕제불국토대삼매(次第?王諸佛國土大三昧), 청정심심행대삼매(淸淨深心行大三昧), 지과거장엄장대삼매(知過去莊嚴藏大三昧), 지광명장대삼매(知光明藏大三昧), 요지일체세계불장엄대삼매(了知一切世界佛莊嚴大三昧), 중생차별신대삼매(衆生差別..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2 : 십정품 3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209 45 0 0 2024-07-19
二十七. 십정품十定品 3 7처 9회 39품 중에서 제7회의 설법이 시작되었다. 제7회 법문은 두 번째 보광명전에서 11개의 품을 설하는데, 그 내용은 등각(等覺) 법문이 6품이고, 묘각(妙覺) 법문이 3품이고, 평등한 인(因)의 법문 1품과 평등한 과(果)의 법문 1품이다. 십정품(十定品)은 7회 11품 중에 첫째 품으로서 열 가지 선정[三昧]에 대한 설법으로, 열 가지 큰 삼매는 보광명대삼매(普光明大三昧), 묘광명대삼매(妙光明大三昧), 차제변왕제불국토대삼매(次第?王諸佛國土大三昧), 청정심심행대삼매(淸淨深心行大三昧), 지과거장엄장대삼매(知過去莊嚴藏大三昧), 지광명장대삼매(知光明藏大三昧), 요지일체세계불장엄대삼매(了知一切世界佛莊嚴大三昧), 중생차별신대삼매(衆生差別身大..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1 : 십정품 2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119 46 0 0 2024-07-19
二十七. 십정품十定品 2 7처 9회 39품 중에서 제7회의 설법이 시작되었다. 제7회 법문은 두 번째 보광명전에서 11개의 품을 설하는데, 그 내용은 등각(等覺) 법문이 6품이고, 묘각(妙覺) 법문이 3품이고, 평등한 인(因)의 법문 1품과 평등한 과(果)의 법문 1품이다. 십정품(十定品)은 7회 11품 중에 첫째 품으로서 열 가지 선정[三昧]에 대한 설법으로, 열 가지 큰 삼매는 보광명대삼매(普光明大三昧), 묘광명대삼매(妙光明大三昧), 차제변왕제불국토대삼매(次第?王諸佛國土大三昧), 청정심심행대삼매(淸淨深心行大三昧), 지과거장엄장대삼매(知過去莊嚴藏大三昧), 지광명장대삼매(知光明藏大三昧), 요지일체세계불장엄대삼매(了知一切世界佛莊嚴大三昧), 중생차별신대삼매(衆生差別..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0 : 십정품 1

무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215 40 0 0 2024-07-19
二十七. 십정품十定品 1 7처 9회 39품 중에서 제7회의 설법이 시작되었다. 제7회 법문은 두 번째 보광명전에서 11개의 품을 설하는데, 그 내용은 등각(等覺) 법문이 6품이고, 묘각(妙覺) 법문이 3품이고, 평등한 인(因)의 법문 1품과 평등한 과(果)의 법문 1품이다. 십정품(十定品)은 7회 11품 중에 첫째 품으로서 열 가지 선정[三昧]에 대한 설법으로, 열 가지 큰 삼매는 보광명대삼매(普光明大三昧), 묘광명대삼매(妙光明大三昧), 차제변왕제불국토대삼매(次第?王諸佛國土大三昧), 청정심심행대삼매(淸淨深心行大三昧), 지과거장엄장대삼매(知過去莊嚴藏大三昧), 지광명장대삼매(知光明藏大三昧), 요지일체세계불장엄대삼매(了知一切世界佛莊嚴大三昧), 중생차별신대삼매(衆生差別..

문화재에 숨은 신비한 동물 사전

김용덕 | 담앤북스 | 11,000원 구매
0 0 246 13 0 44 2024-07-05
『문화재에 숨은 신비한 동물 사전』은 우리 문화재와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환상동물들을 통해 조상들의 창조적 상상력을 살펴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문화 안내서이자 동양판 ‘신비한 동물 사전’입니다. 이 책은 가릉빈가와 공명조, 기린, 뇌공신, 봉황과 주작, 선학, 인어, 화상어, 천마 등 실제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 동물들을 소개합니다. 각종 유물과 옛 문헌에 등장하는 여러 환상동물들의 설화와 이미지를 바탕으로 아름답고 경이로운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집니다. 또한 독자들로 하여금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도록 150여 장에 이르는 풍부한 사진 자료를 함께 곁들여 보여줍니다. 창조적 상상력이 시대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지금, 우리의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에는 무궁무진..

수류화개

김봉규 | 담앤북스 | 11,000원 구매
0 0 138 22 0 2 2024-07-05
우리 예술과 전통문화를 직접 찾아가 알리는 집필 활동을 이어온 김봉규 기자가 전국의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탐사한 기록들을 모아 엮은 책. 30여 년 동안 문화부 전문 베테랑 기자로 일한 저자는 ‘물 흐르고 꽃이 피는 자연을 가까이하지 않고는 진정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없다’라는 신념으로 전국의 산하를 누비며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직접 찾아가 소개하고, 초목 뒤에 얽힌 문화와 역사 이야기를 들려준다. 보는 순간 온 산이 사람의 혼을 빼앗을 듯 불타오르는 천주산 진달래 군락지부터 땅 위에서 노란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듯 탄성이 절로 나오는 반계리 은행나무까지. 저자의 발길을 따라 울긋불긋 산하를 물들이는 꽃과 나무를 접하다 보면 독자들도 자연스레 그곳에 찾아가고픈 충..

수행자와 정원

현진 | 담앤북스 | 10,000원 구매
0 0 959 55 0 8 2023-11-21
불교계 대표 ‘문사(文士)’ 현진 스님의 『수행자와 정원』은 그가 십 년간 산사의 정원을 가꾸며 수행한 사계절을 기록한 책이다. 그의 정원에는 꽃과 바람을 비롯해 자연이 전하는 깨달음이 가득하다. 그는 때때로 피고 지는 꽃의 순환을 보며 꽃의 때가 다 다르듯 인간에게도 각자의 때가 있으므로 너무 조급해 말라 위로한다. 또 시원한 여름 바람이 자유로운 것은 집착하지 않고, 묶여 있지 않기 때문이니 그것을 우리 삶의 지혜 삼자고 응원한다. 이렇듯 수행자에게 정원은 삶을 위로해 주는 벗이자, 삶의 진리를 깨우쳐 주는 스승이다. 현진 스님의 간결한 문체와 정확한 비유는 자연이 전하는 단순한 삶의 진리를 더욱 명료하게 전한다. 그가 느낀 정원 생활의 고요와 기쁨은 독자들에게 자연..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